XBOX에서의 UWP앱 개발 관련 정보 몇 가지.

1.DirectX Feature Level 10.0까지만 지원됨.
이건 하드웨어 쿼리니까 소프트웨어의 문제가 아니다. GPU사양의 문제다. 그렇다면 XDK게임들도 Feature Level 10.0으로 개발했단 얘긴데…실제 칩사양 아시는 분?
그러니까 UWP on XBOX에서 DirectX 12 디바이스를 생성하려고 하면 항상 실패하는데 왜 실패하는지 이유를 알게 된 것이다. 처음엔 XBOX용 Windows 10에서 DX12가 미구현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다. DirectX12를 돌리기 위한 최소 Feature Level이  11.0인데 XBOX ONE의 GPU가 10.0까지만 지원하기 때문에 12가 작동 안하는 것이다. 이건 꽤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 동안 XBOX ONE으로 출시된 게임들이 정말 대단했구나. Compute Shader나 Tessellation 없이 만들었단 얘긴데. 아니면 Feature Level 11을 준수하지 않으면서 우회적인 방법으로 Compute Shader와 Tessellation을 지원했거나.
하여간 현재의 XBOX ONE하드웨어에서 UWP로 게임을 개발한다면 DX12는 사용할 수 없다. DX11을 사용하더라도 Feature Level 10으로 개발해야한다.

2. CPU 개수를 얻어보면 8개로 나옴. XDK기반에선 App에서 사용할 수 있는 CPU코어가 2개라고 알고 있었는데 8개로 나왔단 얘기는 8개 다 쓸 수 있는듯? VT 위에서 2개만 할당되었다면 2개라고 나왔을테니..

3. 사용 가능한 메모리는 2.5GB로 나옴. 이건 진짜 VT로 App영역에 2.5GB 할당되어있다고 생각함. Dev mode에서 web 대시보드를 지원하는데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xbox_dev_web

인디 게임 개발 목적으로는 그럭저럭이긴 하지만, 여러가지로 많이 부족해보인다.
UWP App의 통합이란 목표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새로운 XBOX 하드웨어가 출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XBOX에서의 UWP앱 개발 관련 정보 몇 가지.”에 대한 답글 3개

  1. 안녕하세요. 글 잘 읽었습니다.
    제가 기억하기로는 Xbox One에 들어간 GPU가 GCN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있던거 같은데 얘는 DX 11 피쳐를 지원하니까 Xbox One쪽에서 DX 11 이상 기능을 전부 구현하지 못해서 일단 DX 10 피쳐로 쿼리를 반환하고 있는건 아닐까요? DX는 따로 호환 레이어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게 했다면 이런 시나리오도 가능할 것 같은데…

    좋아요

    1. DX11피쳐까진 제대로 지원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 12피쳐는 하드웨어적으로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UWP에서 10 피쳐만 사용 가능한것은 어떤 다른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일단 UWP에서 메모리르 448MB밖에 못쓰는것과 관련이 있겠죠.
      피쳐레벨 문제는 개선이 되긴할텐데 이게 곧 될지, 아니면 내년 말에 신기종 나오는 때나 되어서 나아질지 알 수 없네요.

      좋아요

답글 남기기

댓글을 게시하려면 다음의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로그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