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사대성 당가이오 미아 아리스 레진 피규어 작업 #1

작년까진 스팀에 게임 출시하는 건 때문에 도저히 여유가 없었고 올해엔 잔뜩 쌓여있는 피규어 레진킷을 중에 두개 정도는 완성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마지막으로 손대고 있던 레진킷은 파사대성 당가이오의 미아 아리스 1/4레진킷. 이 킷은 2011년에 아키바의 어느 피규어샵에서 구입한것인데 일러스트와는 달리 얼굴 조형이 어이없을정도로 엉망이었다. 엉망이라기보단 너무 폭삭 늙었는데, 아마 원형사가 성모마리아상용으로 만들어둔 얼굴을 그냥 캐릭터 피규어에  끼워넣은게 아닐까 싶다. … More 파사대성 당가이오 미아 아리스 레진 피규어 작업 #1

C++로 WIndows 10 UAP앱 개발할때 드래그 앤 드롭 처리하기

기쁘게도 Windows 10의 UAP앱에선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방법에 대해선 아래 링크에 나와있다. 아주 쉽다. http://familie-smits.com/development-tips/drag-drop-now-supported-in-universal-apps?hc_location=ufi 그러나 여전히 C++은 찬밥이다. 비러머글. C++샘플 따위 제공하지 않는다. 하지만 짧은 코드이므로 C++로 구현하는것도 전혀 어렵지 않다. XAML코드는 똑같이 copy & paste해주면 된다. <Grid Background=”{ThemeResource ApplicationPageBackgroundThemeBrush}” AllowDrop=”True” DragEnter=”Grid_DragEnter” DragOver=”Grid_DragEnter” Drop=”Grid_Drop”> <TextBlock x:Name=”DropFromExplorerText” Text=”Drop here a … More C++로 WIndows 10 UAP앱 개발할때 드래그 앤 드롭 처리하기

Windows 10 Technical Preview 10049빌드에서 Visual Studio 2013의 심볼로딩 문제

언젠가부터 Windows 10 Technical Preview 에서 Visual Studio 2013으로 디버깅할때 심볼로딩 부분에 문제가 생겼다고 느끼게 됐다. 오늘 테스트 해봤다. [VS에서 debuggee 최초 실행시] [VS2013] 초기 5초정도       : IDE상태 : VS툴이 메시지 펌핑 못함 , 네트워크 모니터링 : MS심볼서버에서 심볼파일 다운로드 5초 정도 지난후  : IDE상태 : VS툴이 메시지 펌핑 함 , 네트워크 모니터링 : MS심볼서버에서 … More Windows 10 Technical Preview 10049빌드에서 Visual Studio 2013의 심볼로딩 문제

Visual Studio에서 WIndows Driver 개발시 가상머신을 타겟으로 해서 배포 및 커널 디버깅하기.

Windows 10에 맞춰서 드라이버 개발을 해보고자 환경 세팅중. VS2013부터 Visual Studio에 windbg가 통합되어서 VS만으로 커널 디버깅이 가능해짐. 드라이버도 VS만으로 빌드가능. INF파일도 VS에서 생성해줌. 그래서 큰맘먹고 예전에 포기했던 드라이버 개발을 다시 해보기로 결심. 일단 처음엔 VS를 이용한 자동화 빌드,배포, 디버깅이 작동하지 않았다. 별 짓을 다 해봤는데 일단 하루는 날렸고 그래서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수동 연결은 성공했으나 드라이버 배포 … More Visual Studio에서 WIndows Driver 개발시 가상머신을 타겟으로 해서 배포 및 커널 디버깅하기.

코딩하다 적어보는 짤막한 생각.

struct STREAM { DWORD Size; char pBytes[1]; }; . . . STREAM* pStream = (STREAM*)pMem; pStream->pBytes[16] = 0; 이런식의 코드를 과거에는 꽤 많이 사용했었고 팔레트가 포함된 8비트 비트맵 이미지를 다루는 예제에선 흔히 볼 수 있었다. 물론 난 지금도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VS2013으로 바꾸고 Code Analysis를 돌렸을때 VS가 문제있는 코드라고 딱 찍어서 심히 씁쓸했다. 이거 MSDN예제에서도 흔히 볼수 있었던 … More 코딩하다 적어보는 짤막한 생각.

MSX판 프린세스 메이커1의 추억

MSX판 프린세스 메이커1을 플레이하기까지 구구절절한 사연. 1992년즈음일텐데. 당시 나는 HDD가 없이 360KB FDD 2대만 장착된 당연히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가 달린 XT를 사용하고 있었다. 아 MNP기능 없는 2400BPS모뎀은 달려있었음. 그리고 나의 멀티미디어 머신 MSX2+가 있었다.… 어느날 파라동 자료실(하이텔도 아니고 KETEL에서 KORTEL로 이름 바뀌었을때)에 MSX용 프린세스메이커가 올라왔다. 프.린.세.스.메.이.커! PC9801에나 있는 그 게임이! MSX판을 마이크로 캐빈에서 포팅했는데 과연 … More MSX판 프린세스 메이커1의 추억

WinRT, WIndows 10 , UAP에 대한 얘기.

나는 프로그래머다 팟캐스트에서 얘기했던 내용 부연해서 WinRT와 Windows 10, UAP(Universal App Platform)에 대해서 제 생각을 적어봅니다. Episode 3: 제주 MVP오픈데이 특집 – 3인의 개발자 1부 http://iamprogrammer.io/episode-3-%ec%a0%9c%ec%a3%bc-mvp%ec%98%a4%ed%94%88%eb%8d%b0%ec%9d%b4-%ed%8a%b9%ec%a7%91-3%ec%9d%b8%ec%9d%98-%ea%b0%9c%eb%b0%9c%ec%9e%90/ Episode 3: 제주 MVP오픈데이 특집 – 3인의 개발자 특집 2부 http://iamprogrammer.io/episode-3-%ec%a0%9c%ec%a3%bc-mvp%ec%98%a4%ed%94%88%eb%8d%b0%ec%9d%b4-%ed%8a%b9%ec%a7%91-3%ec%9d%b8%ec%9d%98-%ea%b0%9c%eb%b0%9c%ec%9e%90-%ed%8a%b9%ec%a7%91-2%eb%b6%80/ 1. 타일 UI의 앱의 명칭은 다음과 같이 변해왔습니다. Metro App -> Modern App -> Windows Store App -> … More WinRT, WIndows 10 , UAP에 대한 얘기.

Voxel Horizon 최근 작업근황.

이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대해서 계속 고민해왔고 지금도 고민하고 있고 앞으로도 고민하겠지. 마인크래프트 짝퉁으로 갈것인가 쯔꾸르를 위한 복셀 기능의 활용이 될것이냐..를 놓고 계속 고민중이다. 어쨌든 양쪽 다 염두해두고는 있는데 후자를 위해서는 결국 전용 편집툴이 있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결국 편집 전용 툴을 만들기로 결정했다.이 툴은 엔드유져한테까지 배포할 생각이다. 해서 MFC로 툴 만드는중. 클라이언트에 도입했던 콘솔은 MFC툴에도 … More Voxel Horizon 최근 작업근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