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 관점에서의 Qualcomm SQ1 vs Apple m1 vs intel x86 벤치마크

서론 2019년에 ‘프로그래머의 관점에서 본 Surface Pro X 벤치마크‘라는 글을 작성했었다.이후로 2년 반 정도가 지났다. 여전히 Windows on ARM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Surface Pro X를 비롯한 Windows on ARM의 하드웨어 생태계는 그다지 발전하지 않았다. Windows on ARM의 표준적인 칩인 퀄컴의 8cx, 7cx칩의 GPU드라이버는 여전히 불안정하다. Windows on ARM생태계가 정체되어있는 동안 애플에서 ARM기반의 자체 프로세서와 새로운 … More 프로그래머 관점에서의 Qualcomm SQ1 vs Apple m1 vs intel x86 벤치마크

개인 장비들 SSD 벤치마크

내 개인 장비들의 ssd 벤치마크 스샷 찍어놓은게 있어서 엑셀 시트로 정리해봤다. 삼성 960 Pro가 남는데, 꽂을데가 없어서 Mac Mini에 꽂았다. Mac mini 2014 late는 Nvme PCI-E lane이 절반이라 SSD최대 성능 반토막도 안나옴. Mac Mini 스펙이 떨어지는거지 960Pro 성능이 떨어지는게 아님. ADATA는 쓸게 못된다. 2015년경에는 256GB SSD가 꽤 비쌌기 때문에 그 당시에 돈 아낀다고 Alienware15에 ADATA … More 개인 장비들 SSD 벤치마크

Windows on ARM벤치마크 자료의 해석에 대해

작년 12월에  프로그래머 관점에서의 Surface Pro X 벤치마크 라는 글을 작성했었다. 영문/한국어로 작성했고 영문버전은 해외에선 꽤 이슈가 됐었다. 한국에선 전혀 관심을 못끌었는데 요새 ARM for Mac발표 이후 여기저기서 막 퍼가고 있다. 퍼간거까진 좋은데 보고싶은대로, 생각하고싶은대로 해석하는것 같다. 오해를 막기 위해 그 벤치자료에 추가적인 설명을 붙여본다. 벤치자료 내용의 대부분은 ‘명령어 또는 작업당 소모 클럭 카운트’를 측정하여 … More Windows on ARM벤치마크 자료의 해석에 대해

Surface Pro X benchmark from the programmer’s point of view.

Windows on ARM I love Windows. Of course, I don’t have much attachment to Windows 3.1 and 95, but I really love Windows after the NT kernel. I also like Windows programming. Windows programming with Visual Studio is fun. So I was very excited when I heard about NT kernel-based Windows running on a CPU … More Surface Pro X benchmark from the programmer’s point of view.

프로그래머 관점에서의 Surface Pro X 벤치마크

Windows on ARM 나는 Windows를 사랑한다. 정말로 사랑한다. 물론 Windows 3.1과 95에 대한 애착은 크지 않지만 NT커널 이후의 Windows는 정말 사랑한다. 또한 Windows 프로그래밍을 좋아한다. Visual Studio로 Windows프로그래밍을 하는 것은 즐겁다. 그래서 x86이외의 CPU에서 돌아가는 NT커널 기반의 Windows의 소식을 들었을때 무척 흥분했다. Visual Studio로 ARM디바이스에서 돌아가는 Windows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니! 물론 초기 Windows Phone … More 프로그래머 관점에서의 Surface Pro X 벤치마크

응답성(response time)과 처리량(throuthput)은 다르다.

시간당 처리량과 응답성은 분명히 다르다. 시간당 처리량이 떨어져서 응답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처리량을 높여서 응답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 처리량이 개선되면 응답성을 향상시키지 못한다. 100ms정도가 빠른 응답성이라고 가정하는 세상에선 처리량을 높이는게 응답성 향상으로 연결되겠지만 1ms정도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세상에선 처리량과 응답성이 거의 관련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프로그래머라 해도 이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 More 응답성(response time)과 처리량(throuthput)은 다르다.

Azure VM 및 개인 장비 벤치마크

Voxel Horizon의 서비스에 필요한 VM사양을 알아보다가 생각난 김에 개인장비들까지 벤치마크를 돌려서 정리했다. Geekbench 4.3.3을 사용했다. Azaure DS2 v3는 현재 테스트 서버로 사용하고 있는 인스턴스 타입이다. F4S와 F8S_v2는 Voxel Horizon서비스 할때 실제로 사용하려고 하는 인스턴스 타입이다. NV6는 GPU인스턴스로 CUDA와 DirectX테스트를 위해 가끔 사용하는 인스턴스 타입이다. 돈없는 개인이 노려볼만한 스펙의 인스턴스가 DS2 v3인데 성능이 GPDWIN2만도 못한게 함정. … More Azure VM 및 개인 장비 벤치마크

기능 지원 안되는 디바이스 지원에 대한 잡설

코룸 온라인 개발하던 시절에… 베타테스트 직전에 운영팀에서 pc방을 돌면서 게임을 테스트했다. 그리고 버그 리포트라는게 전달이 됐는데 그중에 RIVA TNT에서 크래시한다는 내용이 있었다. 당시 RIVA TNT에서 압축 테스처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생긴 문제였다. 아마 2003년 즈음이었을텐데 그때 많이 쓰던 그래픽 카드는 GeForce 2/4 MX, 고급군으로는 GeForce 3/4 TI 였다. 코룸온라인은 최소사양이 RIVA TNT였다. 나한텐 안물어보고 정했던것 … More 기능 지원 안되는 디바이스 지원에 대한 잡설

CUDA + Lightmap 관련 잡설

예전에 NDC에서 발표했던 자료. 참고로… 라이트맵은 15년전에 만든 엔진에도 들어가 있었고 코룸온라인/묵향 온라인에 적용해서 서비스했었다. blur도 들어가지 않은 raw라이트맵이었다. 그래도 그 시절엔 꽤 괜찮아보였다. 후에 이소프넷 망하고 묵향쪽이 분사하면서 라이트맵 베이킹도 안하게 됐다. 나도 다른 회사 갔고 그 회사엔 더 이상 코드 유지보수할 사람도 툴 사용법을 제대로 아는 사람도 없어서 그냥 깔끔하게 포기했던걸로 안다. 당시에 … More CUDA + Lightmap 관련 잡설

Surface book에서 나타나는 60fps 제한 현상.

Windows 10 1709(rs3)부터 서피스북1/2에서 DirectX 어플리케이션(게임등)을 실행할때 60FPS를 넘기지 못한다. 이전에 유튜브에 올렸던 참고 영상. Windows 10 1709가 릴리즈 되고나서 페이스북과 트위터에서 몇번인가 언급했었다. [현상 및 직접적인 원인] 이 성능 저하의 문제는 GPU의 성능 자체와는 상관이 없다. 순전히 swap chain의 처리방법에서 발생한다. 정확히는 최종적으로 Windows Destkop Windows Manager(이하 DWM)이 어플리케이션의 렌더타겟 버퍼를 데스크탑 윈도우에 조합(composition)할때 … More Surface book에서 나타나는 60fps 제한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