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단]
1. 2000년 초 하나로통신 ADSL이 동네에 들어옴.
2. ADSL을 들이려면 집전화도 바꿔야 한다 함. 그래서 한국통신(KT) -> 하나로 통신으로 변경. 이 시점에서 전화 명의자는 아버지에서 내 이름으로 바뀜. 요금은 지로로 납부.
3. LG파워콤이 들어오면서 인터넷 회선을 하나로ADSL에서 LG파워콤으로 변경. 내 신용카드로 자동이체.
4. 몇년이 지나 어느 순간 하나로가 SK브로드밴드로 넘어갔음. 집전화가 SK브로드밴드가 됨.
5. 집전화 요금은 계속 지로용지로 날라오고 어머니가 납부.
6. 내 전화번호도 바뀜. SK브로드밴드에서는 내 연락처가 예전 전화번호로 되어있음.
7. 부모님이 시외전화/국제전화를 거시는데 시외전화/국제전화 디폴트 사업자는 KT(구 한국통신)으로 되어있었다. 이건 아무도 몰랐음. 난 시외전화를 아예 안썼고 부모님은 사업자를 고를수 있다는걸 아예 모르셨음.
[1차전]
8.몇개월전에 채권추심업체에서 독촉장을 받음. KT통신 요금 몇만원인가 밀려있다고.
9.난 연체한 기억이 전혀 없으므로 피싱이라고 생각함. 그래도 이상해서 다음날 KT에 문의해봄. 미납금이 있다고 함. 웹에서 조회해봐도 최근 1년간 미납액은 없음.
10. 여차저차 여러통의 전화 끝에 SK브로드밴드에서 청구된 요금이라는 대답을 들음.
11. 정확히는 SK브로드밴드 전화로 KT의 시외/국제 전화를 사용한 요금. KT에서도 조회안되고 SK에선 자기네가 부과한 요금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이것.
12. SK전화로 -> KT의 시외/국제전화를사용 -> KT에서 SK로 요금 청구 -> SK에서 시내전화요금 고지서에 시외/국제 요금 내역을 추가해서 우리집으로 지로용지로 발송.
13. 그라다가 어머니가 몇번인가 지로용지를 확인 못하시고 요금이 미납됨.
14. SK에서 나한테 통보를 하려했는지는 모르겠으나 SK브로드밴드측에 기록된 내 전화번호는 2000년 초 하나로통신에 가입했던 시절의 번호임. 당연히 연락 안됨.
15. KT측에 미납된 시외/국제요금 완납.
15. 이래선 안되겠다 싶어서 집전화를 KT로 이동. 내 카드로 자동이체 걸어둠.
16. SK에서 KT로 이동하는 신청서를 작성한 시점에서 SK에서 사용한 집전화 요금 모두 납부.
17. 한달쯤 뒤에 SK -> KT로 이동하는 사이 몇일간 발생한 요금 추가 납부.
[2차전]
18. KT LTE Egg를 신청함.
19. 아침에 전화옴. 4380원 미납요금이 있어서 처리가 더 안됨.
20. 뭔 소리? 싸그리 자동이체인데 어떻게 미납요금이 생겨? 하여간 좋다. 일단 당장 결제할테니 LTE Egg부터 진행하자.
21. KT에 4380원을 결제하고 100번에 전화걸어서 문의. 4380뭔 미납내역이 뭐냐?
22. 처음엔 미납내역 없다고함. 방금 4380원 결제한 카드번호를 알려주고 그걸로 조회하니 한참 뒤져보다가 SK브로드밴드에서 넘어온거라 함.
23. SK에 전화. 자기네는 4380원 부과한적 없다함. 그리고 내 이름으로 미납액 380원이 있다함-> 시발 미치겠네. 뭐 또 미납액? 다 나 냈다고. 이전할때 요금을 두번 냈는데 그래도 또 빠져있다고? 그리고 왜 통보를 안해줘?
24. 하여간 좋다. SK -> KT로 이전할때 하루치 전화료 380원이 남아있다고 하니 이것도 그 자리에서 결제.
25. 다시 KT에 전화. 아침에 너네쪽으로 미납액이라고 4380원 결제했다. 그리고 너네 상담원이 그거 SK에서 청구한거라고 했다. 방금 SK에 전화하니 자기들은 청구한적 없대. 그쪽 미납액이 380원이래.
26. KT상담원 왈 우리 전산에는 4380원으로 뜬다. SK에서보낸거다. 그 외에 우린 내역을 모른다.
27. 다시 SK에 전화. 자기들은 요금을 고객한테 직접 고지하지 KT에 넘기지 않는다고 함. 그리고 SK미납액은 정확히 380원이라고 함. 어이 상실. 계속 얘기하다가 상담원이 물어봄. 혹시 시외전화 어디꺼 쓰세요?
[결말 – 사건의 진상]
28. 5월달 SK -> KT로 이전시 SK에서 청구한 요금에서 시외/국제요금은 제외.
29. 그 시점에서도 부모님은 KT의 시외/국제 전화를 사용중. 아마도 이 시점에서 KT에서 사용한 시외/국제 요금이 SK에 넘어오지 않았을것임.
30. SK 입장에서 자기네 시내전화 쓴 요금만 자기네가 부과한 요금이고 KT 시외/국제 전화 요금은 모르는 일. 그런데 시외/국제전화를 SK전화로 사용했으므로 요금을 사용한 원천은 SK로 나옴.
31. 그 5월달에 사용한 시외/국제 요금이 SK로 넘어감. 아마도 6월이나 7월쯤?
32. 이전엔 KT에서 SK 요금을 청구하고 SK가 시내요금 고지서에 KT 시외/국제요금을 추가해서 (국제/시외전화 KT거 썼다고 찍혀있음) 우리집에 지로용지를 보냈는데 이제 SK해지했으므로 고지서 아예 안날라옴. SK웹페이지 들어가도 가입해지했으므로 로그인조차 안됨.
33. KT입장에선 KT의 미납요금으로 나옴. 왜냐하면 KT의 시외/국제 전화 사용이니까. 그런데 요금을 사용한 원천은 SK전화로 나옴. 그러니 SK에서 부과했다고 주장.
34. SK에선 자기네가 부과한거 아니라고 주장. 자기네가 부과한거 아닌건 맞지. KT 시외/국제 전화 요금이니까.
35. 썅.
[교훈]
1. 나이드신 부모님이 자동이체를 못믿으실지라도 무조건 자동이체 하게 해야함.
2. 시내전화/시외전화/국제전화는 같은 사업자를 사용할것.
3. 주기적으로 미납요금을 내쪽에서 확인할것. 이 등신들이 웹시스템을 똥같이 만들어놔서 조회할 수 있는 내역이 부실함. 웹에서, 전화해서, 지점에 찾아가봐야 확인할 수 있는 내역이 다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