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BOX ONE에서 Windows 10 UWP앱을 돌려보자.

나는 XBOX ONE에서 UWP앱을 돌릴수 있기를 꽤나 기대해왔던 사람이다. id@XBOX프로그램의 헤택을 받기가 영 쉽지 않았기 때문에, 또 이제 와서 별도의 XDK사용법을 익히는게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1. C++과 DirectX로 개발하는건 충분히 익숙하다.
2. 게임 프로젝트에 한해서는 UWP앱과 win32 어플리케이션은 99%의 코드 공유가 가능하다.

따라서 XBOX ONE에서 UWP앱이 돌아간다면 자연스럽게 콘솔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나로선 무척이나 반가운 일이다.

현재 프리뷰지만 XBOX ONE에서 직접 개발한 UWP앱을 돌려보고 디버깅 할 수 있다.

<준비물>
1. Windows 10이 설치된 PC(현재 정식빌드인 10586빌드가 설치되어있으면 충분하다. 굳이 Redstone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2. Visual Studio 2015 Update 2
3. Windows 10 SDK preview build 14295 이상(Windows Insider Preview홈에서 다운로드할수 있다)
4. 최신 업데이트가 완료된 XBOX ONE 디바이스

<실습>
1.XBOX ONE에서 XBOX STORE로부터 DEV MODE Activate앱을 다운로드 한다.
2.실행하면 DEV MODE로 Switch하는 타일이 생긴다.
3.타일을 실행하면 한참동안 업데이트를 하고나서 Dev Mode로 진입한다.
XBOX_ONE_DEV_HOME

4. 원래 네트워크 설정이 잡혀있더라도 DEV MODE로 처음 진입했다면 DEV MODE에선 네트워크 및 계정 설정이 완전히 초기화되어있다. 따라서 설정을 해줘야한다. sign in을 선택해서 로그인 하려고 하면 네트워크 설정이 잡혀있지 않다고 네트워크 설정 ui를 보여줄 것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설정을 마치고 MS Live Accout로 로그인 하도록 한다.
MS Edge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으로 네트워크 설정이 되어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자.

5. Visual Studio 2015 Update 2를 실행한다. File->New -> Project -> Visual C++ -> Direct X 11 App (Universal  Windows)를 선택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정말 디버깅이 되는지를 확인하려고 App::Initialize()함수 안에 미리 브레이크 포인트를 찍어뒀다.

XBOX_ONE_VS_BREAK

6. VS에서 Project -> Properties -> Debugging 탭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debugging_property

Machine Name에는 XBOX ONE의 DEV HOME타이틀 아래에 나와있는 IP를 적어넣으면 된다.

7. F5를 눌러서 App을 XBOX ONE으로 deploy한다.

8. XBOX ONE디바이스의 Pair PIN code를 물어보는 다이얼로그가 뜰 것이다.
XBOX ONE에서 DEV HOME -> Visual Studio -> Pair with Visual Studio를 누른다.

PAIR_PIN

여기 출력된 pin code를 입력한다.

9. 이제 다음과 같이 스플래시 이미지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의 UWP앱이 실행되기 시작한 익숙한 화면을 볼 수 있다. VS쪽을 확인해보면 아까 브레이크를 걸어둔 App::Initialize()함수에 브레이크가 걸려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OK. f5를 눌러서 진행시키자.

XBOX_ONE_APP_LAUCHED

10. 그리고 이렇게 앱이 돌아간다.
XBOX_ONE_APP_RUNNING

11. 앱을 종료시키면 대쉬보드에는 이렇게 최종적으로 실행한 앱의 타일이 표시되고 있다.

XBOX_ONE_APP_INSTALLED

좋다. 이제 내가 만든 uwp용 게임앱을 그대로 배포할 수 있겠다.

<참고링크>
https://msdn.microsoft.com/en-us/windows/uwp/xbox-apps/development-environment-setup


답글 남기기

댓글을 게시하려면 다음의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로그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