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 Windows Container관련 잘못 포스팅한게 있어서 정정함.
Windows Container를 사용하려면 Hyper-V가 필요하다고 적었는데 틀렸다. Hyper-V필요없다.
먼저 다음의 링크를 따라가서 동영상을 보자. Hyper-V를 사용하고 있다.
https://msdn.microsoft.com/virtualization/windowscontainers/quick_start/container_setup
여기 있는 영상에선 Windows 10을 사용하기 때문에 Windows Container가 활성화된 Windows Server 2016 Core버전의 vhd를 받아서 Hyper-V로 돌리고 있는것이다.
Windows 10에서 Windows Container를 테스트하고 싶으면 당연히 이렇게 해야하지만 Windows Server 2016을 사용한다면 Hyper-V가 필요없다.
ISO이미지로 Windows Server 2016을 직접 설치했다면 기본적으로는 Windows Container가 설치되지 않았을것이다.
다음과 같이 Windows Container를 설치한다.
A. 파워쉘 스크립트를 사용한다.
여기 따로 Windows Container설정을 잡아주는 방법이 나와있다.
https://msdn.microsoft.com/virtualization/windowscontainers/quick_start/inplace_setup
B. 스크립트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수동 설치
- 서버 매니저 들어가서 Feature에서 Containers를 설치해줌.리부팅 필요
- Powershell에서
Get-ContainerImage
커맨드를 입력하면 현재 갖고 있는 컨테이너 이미지가 나올텐데 한개도 안나올 것이다.
-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아마도 msdn subscriber일텐데 msdn 다운로드에서 Windows Server Containers Technical Preview 3 (WIM) 를 받아둔다.
- 파워쉘에서 다음의 커맨드를 입력한다.
Install-ContainerOSImage
wim이미지가 있는 패스를 물어본다. 패스만이 아니고 풀패스 파일명을 입력해야한다.
c:\util\en_windows_server_containers_technical_preview_3_wim_x64_6956787.wim <=이런식으로.. 그럼 wim이미지가 설치된다.
- Get-ContainerImage
커맨드를 입력하면
WindowsServerCore CN=Microsoft 10.0.10514.0 True
라고 표시된다. 이제 아래 링크의 튜토리얼을 따라가면서 Windows Container를 사용해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