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idia GRID SDK구동에 필요한 하드웨어 환경

NVIDIA GRID기반 클라우드 게이밍 환경을 구축하려면 뭔 장비가 필요한지 좀 찾아봤다.

현재 릴리즈된 최신 GRID SDK에서 지원하는 하드웨어는 4종.
K1, K2 , K340, K520 이렇게 4개제품에서 가능.

K1
칩사양 : 768 core – (192 core SM x 1) x 4
가격 : $1,899.00
GK107인데 SM이 1개뿐인 절반스펙 GK107이다. 이름이 K1인걸로 봐서는 NVIDIA K1보드용으로 나온(모바일에 맞춘) GK107인것 같다.

K340
칩사양 : 1536 core – (192 core SM x 2) x 4
가격 : $2,595.00
풀사양 GK107 4개가 꽂혀있다. vGPU지원 안함. 데스크탑 가상화 불가.
동시 사용자가 많을 경우 성능은 가장 좋다고 하는데 이게 정확히는 게임 퍼포먼스가 아니고 영상 인코딩 성능임. 칩이 4개이고 따라서 영상 인코딩을 동시에 4개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리밍 처리 능력이 가장 뛰어나다는 얘기임.

K2
칩사양 : 3072 core – (192 core SM x 8) x 2 – GTX680 두개 꽂은것임.
가격 : $2,950.00
풀사양 GK104 두개가 꽂혀있고 vGPU를 지원해서 Remote FX등에서 데스크탑가상화 기능 지원.

K520
칩사양 : 3072 core – (192 core SM x 8) x 2 – GTX680 두개 꽂은것임.
가격 : $2,899.00
풀사양 GK104 두개가 꽂혀있고 vGPU 지원하지 않음.
K2랑 하드웨어 스펙은 같은데 vGPU만 지원안함. K2에 비해 50달러 싼데 vGPU지원 안하니이 제품 사지 말고 K2사라는 얘기인듯.

[가격비교]
K2 > K520 > K340 > k1

[성능비교 예상]
칩사양으로 예상할 수 있는 3D처리 퍼포먼스
K2 = K520 > K340 > K1

칩사양으로 예상할 수 있는 스트리밍 퍼포먼스
K340 = K1 > K520 = K2

[하드웨어 안사고 테스트 하는 방법]
amamzon에서 g2인스턴스를 만들어 쓰면 됨.
g2기본인스턴스로 아무런 옵션을 추가하지 않고 한달 내내 사용한다면 예상 비용은 513달러정도.

[참고링크]
nvidia GRID K1,K2
http://www.nvidia.com/object/grid-technology.html

nvidia GRID K340, K520
http://www.nvidia.com/object/cloud-gaming-gpu-boards.html

Remote FX – NVIDIA GRID
http://www.nvidia.com/object/remotefx.html


답글 남기기

댓글을 게시하려면 다음의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로그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